A.강의안에 대한 이해
1. 강의안의 개념
1)수업 구성 계획
-모든 내용이 강의안에 담김
-교수계획안 이라고도 한다
-수업 목표(destination)로 가는 지도(map)와 같다
-수업이라는 쇼를 위한 시나리오
2)강의안과 수업 구성
-무엇을 (교수내용, 학습내용)
-얼마동안 (시간)
-어떻게 (교수법)
가르칠 것인가?
-목표 달성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 모색
(제한이 있기 때문에. 특히 시간적 제한)
3)초보 교사와 강의안
-수업 전에 미리 계획하는 것
(초보교사는 수업이 두려울 수 있다. 미리 밑그림을 그려 두려움을 줄일 수 있다. 교안은 부담스러운 것이 아니라, 수업을 미리 준비하여 '나'를 도와 줄 도구이다)
-교수학습 활동을 철저히 미리 계획 (세세하게, 하나하나)
-수업 목표 실현을 위한 map 필요
-수업의 안정적인 완수를 위한 필수품
4)강의안의 가치
-강의안은 문서화 되어있다. 우리가 목표하는 수업을 위해서, 매우 유용한 기록. ( 내 수업에 대한 기록이며, 차후에 근거와 활용이 된다)
-실제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기록
-현장 기반 연구의 실제적 자료
2. 강의안의 구성
1)구성의 단계
-사전계획 세우기 : 시간, 학생수 등 분석하여 세우기
-학습자 요구분석 : 학습자 중심으로 생각.
(학습자들의 이전학습 단계 : 사전 테스트 등, ->지금 학습이 필요한 내용 파악)
-교수학습 활동 구성
-강의안 초벌 작성
-강의안 정교화
2) 구성의 단계별 내용
-사전 계획 세우기 : 교육 목표 확인 (오늘 도착해야하는, map의 destination)
-학습자 요구 분석 : 학습자 배경 파악 (국적, 이전 외국어 학습 경험)
-교수학습 활동 구성 : 단계별 내용 및 설계
-초벌 작성
-정교화 - 시간 분배 (단계별), 활동 자료 설계, 진행 방법 구체화 등
B. 강의안 작성의 실제
1. 강의안의 종류
:즉, 강의안은 교수의 계획이다.
1) 학기별 계획 : 강의계획서와 같은 것 (학기별 계획)
2) 주간 계획
3) 단원별 계획 ( 한 단원을 몇 차시로 나눌 것인가)
4) 학습 목표 항목별 계획
5) 차시별 표준 강의안
2. 강의안의 구성요소
1) 구성 요소의 종류
-학습목표
-학습자 정보 (학습자수, 연령, 국적 등)
-내용 및 절차 (도입 to 정리)
-교수학습 활동 (도입~정리 단계별 활동 정리)
-학습자료 및 교구
-활동시간 (반드시!)
-유의점 (신경써야 하는 점.)
2) 구성 요소의 내용
ㄱ.학습목표
-종합 목표 : 단원별 목표
-구체적 목표 : 학습 내용과 관련된 구체적 목표 (각 단원별 구체적 목표. 어휘, 문화 등)
개별적 목표 설정 가능 : 교육과정 이외의 목표, 학습자별, 활동별 교사의 개별적 목표 설정 가능
->목표 : 내용요소, 행동요소 모두 포함, 정확, 명료하게 기술
ㄴ. 학습자 정보 : 언어 숙달도, 국적, 연령, 성별, 학생 수 등 특징
ㄷ. 수업 내용과 절차
ㄹ. 교수 학습 활동 : 구체적이어야 함. 교사/학습자의 예상 발화까지 기술할 수 있어야 (한국어 교실이라는 쇼의 시나리오(대본) 작성이다.
ㅁ. 학습자료 정보 : 학습 활동지, 활동별 필요한 교구 (그림카드, 단어카드, CD등)
ㅂ. 수업시간 반드시 명기 (도입~정리 단계별, 학습 활동별 소요시간 제시)
ㅅ. 유의점 기술
3. 올바른 강의안 작성법
1) 강의안 작성의 지침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대본을 쓰듯. 다른 교사가 보더라도 수업운영이 가능할 정도)
-두성요소 기술
-단계에 따라 기술
-제시에서는 문법 설명을 반드시 포함하며, 설명의 내용은 문법 교육의 원칙에 따라 구성한다.
-연습활동은 꼭 두 가지 이상 구성 : 조작적 연습, 유의미적 연습
-연습문제는 문제풀기로 진행하지 않는다. (연습문제는 손으로 각자 푸는 게 아니라, 학생에게 연습을 직접 시키는 것)
-유의미적 연습, 활용 활동은 실제적 내용과 자료로 구성
-단계별 시간 안배에 유의해야 (연습이 시간 안배가 제일 길어야)
-판서계획도 포함
C. 강의안의 평가
1. 강의안의 활용
1) 수업 전 사전 실행
-가상실행 중 미비점 파악, 이를 보완
-연습을 통한 자신감
-교수안을 기억하게 되어, 안정적 수업 진행 가능
2) 수업 중 길잡이(map)
-수업 중 진행단계를 잊어버리거나 돌발상황 등으로 흐름을 놓칠 때 도움이 됨
3) 수업 후 강의 평가
-교사 본인이 수업을 돌이켜 보며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
-원인을 파악하여 다음 수업 준비에 참고
2. 강의안의 비교
예시1 : 구체적으로 기술을 하지 않는 예시
예시2 : 구체적 예시
-다이얼로그/대본을 적음
'한국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주차 : 초급 수업 참관 (0) | 2019.10.22 |
---|---|
7주차 :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0) | 2019.10.22 |
한국어 교육 실습 5주차 : 활용, 정리 (0) | 2019.10.04 |
한국어 수업의 단계 표 정리 (0) | 2019.10.01 |
한국어 교육 실습 4주차 : 한국어 수업의 단계2 (연습) (0) | 2019.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