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공부한 지 3개월 정도된 학생 (약 195~200시간)

-초급에서 1급을 마치는 수준

 

목표문형 : 아야하다, 어여하다, 여야하다 (당위성을 나타내는 표현)

 

-도입~정리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진행되는지

-초급으로서 교사의 운영 방식, 언어 사용 방식

-교실 환경 구성

-학습자-교사 상호작용

 

 

 

2:15

도입

 

인사

(식사 등)

밥 먹었어요?

 

2:34 

(이전 내용 복습 및 오늘 내용 복선)

서울 사람이에요

 

어디 사람이에요?

어떻게 알아요?

멀어요?

중국에서 왔어요.

위해하고 천진은 멀어요? 가까워요?

(이전에 배운 내용 복습)

 

어디서 왔어요?

카메룬이 어디있어요?

한국에서 아프리카는 멀어요.

아주 멀어요.

 

고향은 어디에요?

프랑크프루트에서 왔어요

 

씨는?

독일, 미얀마 어디가 서울에서 가까워요?

 

(한 명씩 모두 발화하도록 함)

 

5:00

누구 고향이 제일 멀어요?

(제시를 위한 암시)

카메룬

카메룬에서 한국으로 어떻게 올 수 있어요?

('갈아타야 해요'를 유도. 오늘 배울 문법 '해야 해요')

 

어떻게 올 수 있어요?

 

(추임새만 넣고 무조건 기다림)

(아마 이전 배운 내용이 멀다-가깝다의 내용인 듯)

 

 

 

제시

판서시간 6:17

• 학습 목표의 의사소통적인 기능이 제시되고 있는가?

-선수학습의 요소가 학습목표 제시에 잘 활용되고 있는가?

• 학습 목표가 연역적으로 설명되는가, 귀납적으로 설명되는가?

 

 

멀리 온 학생 (카메룬)

 

카메룬 케냐 태국 갈아타요 한국

 

갈아타야 한국에 와요

 이 일이 필요해요

 (판서 및 알아보기 쉽게 그래프 식으로 그림)

 

갈아타야 해요

 

이거 안해요. 그럼 안돼요. 어떻게 말해요? 8:21

오늘은 이거 공부해요.

 

아/어/여 하다.

9:27 (최초판서)

 

이해시키는 시간

 

한국은 추워요

옷을 많이 입어야 해요.

 

 

-설명 10:33

 

독일 식당 많아요?

학교에 독일음식 있어요?

한국 음식 먹어야 해요

 

(문법 설명시에 판서의 예시로 쓸 것을

미리 학생들에게 묻고 답하여 시작)

 

아/어/여 야 해요

가 아 야 해요

 

판서로 함

 

먹어야 해요

 

공부하여야 해요

공부해야 해요 (한국사람은 어떻게 말해요?)

 

가야해요.가야 돼요 (같은 뜻이에요. 말할 때 더 많이 써요)

:이후로 '돼요' 혼용해서 사용.

 

(여러 동사 예시, 문법적 설명, 학생 답변 유도, 판서 중심.)

(아요/어요/여요 형을 이미 배웠으므로, 학생의 답변, 호응을 끌어낼 수 있음)

 

 

 

-연습 (16:48)

• 연습에서 상호작용의 형태는 어떠한가?

 

-조작적 연습 (16:48) 

 

 

1. 카드연습 (16:48)

동사 카드 제시

 

가다 

보다

먹다

마시다

일하다

 

교사 질문 : 뭐 해야 해요?

 

-어려운(불규칙) 동사 (17:00)

듣다 -> 들어야 돼요. (듣다 동사는 복잡함)

쓰다 ->써야 해요

쉬다 -> 쉬어야 해요

입다

 

-다시 일반 동사

일어나다

좋아하다

 

규칙(쉬운)동사-어려운(불규칙)동사-일반(쉬운)동사

순으로 섞어서 진행

 

 

-조작적 연습2 : 유인물 문제 풀기 연습 (20:40)

(약 7개의 문항 중, 마지막 문향은 유의미적 연습 시도.

중간에 쉬운 문형(선수 학습된)으로 대답을 유도할 수 있는 활용/유의미적 연습 시도.

6, 7번 문항 풀이 후, 문제 주제 관련하여, 선수 학습된)으로 대답을 유도할 수 있는 활용/유의미적 연습 시도. 

 

-유인물 나눠 줌

 

1번 선생님하고 같이해요 (보기를 먼저 보여 줌)

입으로 같이 풀기

 

2번 제(선생님)가 ~씨에게 질문해요 (선생님:학생)

(정답을 판서로 보여 줌 : 학생들이 철자가 맞았는지 확인하도록)

 

3번 (선생님:학생)

어머니가 아프셔서 고향에 가야해요.

짝이 되는 문법을 제시.

아/어/여서 -아/어/여야 하다

 

4번, 5번 모두 '교사:학생' 

 

유인물에 없는 돌발 질문 : 조미떼 씨는 왜 한국어를 공부해야 해요?

한국음악을 공부하고 싶어서 한국어를 공부해야 해요

(유의미적 연습 시도)

 

4번 클라라 생일 : 조작적연습이었으나, 개인적 대화 시도

 

5번 조작적 연습

 

7번

장옥씨(실제학생) 가족이 한국에 와요. 어디를 구경해야 해요?

박물관은 어디에 있어요?

KTX 탔어요?

어디에 갔어요?

등 활용, 유의미적 연습을 시도함

 

 

유의미적 연습 (28:55)

 

유의미적 연습1 (28:55)

 

여러분은 학생이에요.

학생은 뭐 해야 해요?

공부해야 해요

친구를 만나야 해요.

 

 

 

유의미적 연습2 (29:49)

 

이 사람은 뭐 해야 해요?

 

좋은 선생님은 뭐 해야 해요?

 

학생 : 단어를 잘 설명해야 해요.

천천히 말해야 해요.

(학생이 느리거나 더듬거리는 경우, 한 번 더 유도)

잘 가르쳐야 해요

친절해야 해요.

학생나라 단어를 조금 알아야 해요.

(알..까지만 맞고, 이후 틀렸을 때에는, 알 까지만 힌트주고 이후에 오류가 있다는 암시만 주고 몇 번 더 시도)

친구 같아야 해요

 

 

-유의미적 연습3 (35:31)

 

여러분 지금 남자친구, 여자친구가 있어요?

비밀이에요?

하지만, 여러분 머릿 속에 생각이 있어요.

 

여러분은 결혼할 거에요

부인은 어떤 사람이어야 해요?

남편은 어떤 사람이어야 해요?

 

-착해야 해요

-똑똑해야 해요

-멋있어야 해요

(오류가 발화된 경우, 한번 기회를 주고, 또 설명시에는 항상 판서가 들어감)

-깨끗해야 해요

(다른 학생이 아직 모르는 단어를 어느 학생이 발화한 경우 : 발화한 학생에게 설명을 부탁하거나,

쉬운 단어로 설명. 착하다 = 마음이 예뻐요, 마음이 좋아요)

-말 많아야 해요

 

 

 

-활용 (41:28)

 

1<예시>먼저 들어주기 (41:28)

선생님 : 친구가 미국에서 와요. 한국에서 뭐 해야 해요?

지하철을 타요. 싸요. 지하철 지도가 필요해요

떡볶이를 먹어야 해요.

쇼핑을 해요. 동대문에 가야해요.

 

(협의적인 설명 : 세 개를 이야기 함.

지하철 지도 있어야 해요. :필요

음식

쇼핑)

 

 

 

 

2(서로 대화시간) (44:20)

유인물 : 선생님이 친구에게 쓴 이메일이 있음 <예시가 제시되어 있음>

 

유인물 나눠 줌

 

친구에게 본인 나라의 교통, 음식, 쇼핑 등 소개하는 글(메모)작성

 

작성 후 짝을 지어 학생:학생 대화 하도록 유도(각각)

 (서로의 나라, 국가를 알 수 있는 액티비티)

 

선생님 돌아다니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부분 등 조언

(선생님은 돌아다니면서 학생 그룹들이 하는 말을 잘 들음. 잘 듣고, 때때로 반응, 추임새를 넣어 줌)

 

 

 

 

3<각 그룹 발표 시간> (50:55)

 

각각 발표

 

(시간이 별로 없어보임)

 

 

 

정리 (56:25)

 

나중에 다른 친구에게 물어보세요.

 

 

 

뭘? 해야해요

 

뭘 (먹는 시늉)먹으러 가야해요

 

전화 (시늉)해야해요

 

 

오늘 수업 질문 있어요?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57:16 (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