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하는 단계 ? | 주의사항 | 단계 | 실제적 구성 예상하기 | 사례, 예시, 교안 | |
도입 |
오늘 무엇을 배울 것인지 배경을 까는 단계 :학습자가 다음의 제시 단계를 흡수하기 쉽도록 만들기. |
-집중 유도 -공감 -쌍방향
|
|
-인사 -지난시간 복습 -오늘 목표 배경형성 |
대개의 경우 사진,CD 제시 |
제시 | 제시에서는 문법 설명을 반드시 포함 | 대개의 경우 판서 제시 | |||
(설명) | 문법 규칙을 설명하는 단계. 제시 단계의 일부 | ||||
연습 |
목표의 규칙을 이해시키고 적용 연습시켜 활용하게 만드는 과정
*꼭 조작적, 유의미적 두 가지 연습을 모두 넣어야 함. 하나만 하면 안됨.
*단계중 가장 길게 시간 안배 |
-최소 2단계로 구성 : 조작적 단계, 유의미적 단계
-반복 활동이므로 지루하지 않게 도구, 큐를 다양화
-시간 대비 효율적으로, 양적으로 많이해야 함. 연습 양=학습자 발화 양
|
-1. 언어화 단계
-2. 자동화 단계 (형태중심 조작적 연습)
-3. 자율적 사용 (의미중심 유의미적 연습) |
-1. 오늘 제시한 문법 규칙을 학습자 스스로 설명할 수 있게 하기 (교원 선시범)
-2. 규칙을 반복연습 시키기 (형태중심 조작적 연습: 교사중심, 이미 제시된 답변 연습)
-3. 변형에 대한 연습 (의미중심 유의미적 연습: 학습자 중심, 본인의 창의적 답변) |
-1.
-2. 리듬 중국어, 패턴 중국어 등. 발화 연습시 교사:학생1, 혹은 교사:학생 다수
-3. 발화연습 시 교사:학생, 혹은 학생:학생. (1:!이 되도록) |
활용 |
오늘 배운 목표 문형+선수 학습된 본인의 언어 모두를 활용 하여 실제적 상황에 적용하는 과정. |
-형태 중심이 아닌 의미 중심의 과제형 교육 : 학습자의 창의성 |
*교실 안에서의 흐름 제시 : 구체적이고 협의적인 목표를 제시 설명 : 활동의 내용과 방법 (보기를 보여주기) 활동 : 시간 제한을 두어야 점검 : 칭찬과 보강 = 교실에서 실행하기 전, 사전 예행 연습을 실시하여 미비점을 보완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
*교사가 활용을 구성할 때 진행 flow -상황 설정 -문법 표현/어휘 파악 -기능통합적 활동 구성 -활동의 형태와 방법 결정
|
*교안 포함 내용 활동의 유형 : 프로젝트, 정보 모으기, 토론하기 (활동의 유형 밝히기)
활동의 내용 : 우리반 학생 중 가장 바쁜 학생은 누구인지, 주제 제시. (활동의 주제와 내용 제시)
학습 활동 :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어느 분야를 커버할 것인가 밝히기)
학습 내용 : 요일, 시간표현, -부터 (활용할 문법적 부분 제시) |
정리 |
-한 단원의 수업을 마무리하는 활동 -평가 및 강화 |
학습자의 성공적 학습 활동 체험을 위해 가능한 긍정적 평가 실시 (미진한 부분이 있더라도, 다시 수업을 개시해서는 안되고, 이후에 보강) |
-미진한 부분은 과제를 통해 적극 실시 -교정할 내용은 이후 수업 활동에 포함 |
*연습과 활용의 차이점 :
연습 : 좀 더 형태(규칙) 중심, 단 하나의 목표 문형을 여러 상황에서 연습. 단순 반복.
활용 : 좀 더 의미 중심, 단 하나의 상황에서, 오늘의 목표 문형 및 선수 학습된 모든 문형 활용. 학습자의 창의적 참여.
'한국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주차. 강의안 작성법 (0) | 2019.10.16 |
---|---|
한국어 교육 실습 5주차 : 활용, 정리 (0) | 2019.10.04 |
한국어 교육 실습 4주차 : 한국어 수업의 단계2 (연습) (0) | 2019.10.01 |
한국어 교육실습 3주차 : 한국어 수업의 단계1 (도입->제시:설명) (0) | 2019.09.21 |
한국어 교육실습 OT 동영상 주요 내용 (0) | 2019.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