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무위키에서 알파벳 보고 따라 쓰기

(https://namu.wiki/w/%EB%9F%AC%EC%8B%9C%EC%95%84%EC%96%B4)

 

 

대/소문자

읽기

IPA 표기

기원

타 언어의 흡사하거나 동일한 발음

А/а

a 아

/a/

알파(Αα)

한국어 

Б/б

be 베

/b/

베타(Ββ)

한국어 

В/в

ve 베

/v/

베타(Ββ)

중세 한국어 

Г/г

ge 게

/ɡ/

감마(Γγ)

한국어 

Д/д

de 데

/d/

델타(Δδ)

한국어 

Е/е

ye 예

/je/

엡실론(Εε)

한국어 

Ё/ё

yo 

/jo/

엡실론(Εε)

한국어 

Ж/ж

zhe 제

/ʐ/

 

영어 Z

З/з

ze 제

/z/

제타(Ζζ)

중세 한국어 

И/и

i 이

/i/

에타(Ηη)

한국어 

Й/й

i kratkoye
이 크라트코예

/j/

 

영어의 Y

К/к

ka 카

/k/

카파(Κκ)

한국어 

Л/л

el 엘

/l/

람다(Λλ)

영어 L

М/м

em 엠

/m/

뮤(Μμ)

한국어 

Н/н

en 엔

/n/

뉴(Νν)

한국어 

О/о

o 오

/o/

오미크론(Οο)

중국어 한어병음 O

П/п

pe 페

/p/

파이(Ππ)

한국어 

Р/р

er 에르

/r/

로(Ρρ)

이탈리아어 R

С/с

es 에스

/s/

시그마(Σσ)

한국어 

Т/т

te 테

/t/

타우(Ττ)

한국어 

У/у

u 우

/u/

입실론(Υυ)

한국어 

Ф/ф

ef 에프

/f/

피(Φφ)

중세 한국어 

Х/х

xa 하

/x/

카이(Χχ)

한국어 "름"에서의 

Ц/ц

tse 체

/t͡s/

히브리 문자 차데(צ)

독일어 Z

Ч/ч

che 체

/t∫/

 

영어 "Chair"의 Ch

Ш/ш

sh 샤

/ʂ/ 시

히브리 문자 신(ש)
또는 그리스 문자 시그마(Σσ)

영어의 Sh

Щ/щ

shch 시

/ɕː/

 

한국어 을 길게 발음

Ъ/ъ

tvyordyi znak
트뵤르디 즈나크[43]

없음[44](아볙트)가 아닌 [ɐˈbjekt](아브옉트)로 발음한다.]

글라골 문자

 

Ы/ы

이 i

/ɨ/

글라골 문자

한국어 

Ь/ь

myagkii znak
먀흐키 즈나크[45]

없음[46]

글라골 문자

 

Э/э

e 에

/e/

엡실론(Εε)

한국어 

Ю/ю

yu 유

/ju/

오미크론과 요타(Ιι)의 조합[47]

한국어 

Я/я

ya 야

/ja/

글라골 문자

한국어 

 

 

 

2. 유투브에서 '알파벳-발음' 카드식 동영상 찾아보기

 

 

 

 

 

 

 

3. 발음기호 없이 읽어보기

 

-다음의 사이트에서 아주 기본적인 러시아어 단어, 인삿말 등을 수집

https://www.tripsavvy.com/basic-russian-vocabulary-for-travelers-4165285 

 

Helpful Russian Phrases and Words for Travelers

Learn these useful Russian words and phrases so you can shop, order food, get directions, and make small talk during your travels to Russia.

www.tripsavvy.com

-괄호 안의 발음을 최대한 보지않고 읽기 시도하기.

 

-구글 번역기로 진짜 발음 확인

 

-발음을 여러 번 열심히 따라한 후, 발음만 듣고 알파벳 받아 써 보기.

 

 

 

 

 

 

 

4. 유투브에서 러시아어 알파벳 관련 짧은 강의 듣기 (30Мин)

 

 

 

 

 

 

5. 기타 한 일.

 

-HOG(숨은그림찾기 게임)를 러시아어로 할 수 있는 사이트 발견 : https://www.alawar.ru

 

Игры – скачать, на компьютер, играть, онлайн, ключ | Игры Алавар

 

www.alawar.ru

- 러시아어 키보드 입력기 설치

 

 

 

 

-한국어 공부한 지 3개월 정도된 학생 (약 195~200시간)

-초급에서 1급을 마치는 수준

 

목표문형 : 아야하다, 어여하다, 여야하다 (당위성을 나타내는 표현)

 

-도입~정리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진행되는지

-초급으로서 교사의 운영 방식, 언어 사용 방식

-교실 환경 구성

-학습자-교사 상호작용

 

 

 

2:15

도입

 

인사

(식사 등)

밥 먹었어요?

 

2:34 

(이전 내용 복습 및 오늘 내용 복선)

서울 사람이에요

 

어디 사람이에요?

어떻게 알아요?

멀어요?

중국에서 왔어요.

위해하고 천진은 멀어요? 가까워요?

(이전에 배운 내용 복습)

 

어디서 왔어요?

카메룬이 어디있어요?

한국에서 아프리카는 멀어요.

아주 멀어요.

 

고향은 어디에요?

프랑크프루트에서 왔어요

 

씨는?

독일, 미얀마 어디가 서울에서 가까워요?

 

(한 명씩 모두 발화하도록 함)

 

5:00

누구 고향이 제일 멀어요?

(제시를 위한 암시)

카메룬

카메룬에서 한국으로 어떻게 올 수 있어요?

('갈아타야 해요'를 유도. 오늘 배울 문법 '해야 해요')

 

어떻게 올 수 있어요?

 

(추임새만 넣고 무조건 기다림)

(아마 이전 배운 내용이 멀다-가깝다의 내용인 듯)

 

 

 

제시

판서시간 6:17

• 학습 목표의 의사소통적인 기능이 제시되고 있는가?

-선수학습의 요소가 학습목표 제시에 잘 활용되고 있는가?

• 학습 목표가 연역적으로 설명되는가, 귀납적으로 설명되는가?

 

 

멀리 온 학생 (카메룬)

 

카메룬 케냐 태국 갈아타요 한국

 

갈아타야 한국에 와요

 이 일이 필요해요

 (판서 및 알아보기 쉽게 그래프 식으로 그림)

 

갈아타야 해요

 

이거 안해요. 그럼 안돼요. 어떻게 말해요? 8:21

오늘은 이거 공부해요.

 

아/어/여 하다.

9:27 (최초판서)

 

이해시키는 시간

 

한국은 추워요

옷을 많이 입어야 해요.

 

 

-설명 10:33

 

독일 식당 많아요?

학교에 독일음식 있어요?

한국 음식 먹어야 해요

 

(문법 설명시에 판서의 예시로 쓸 것을

미리 학생들에게 묻고 답하여 시작)

 

아/어/여 야 해요

가 아 야 해요

 

판서로 함

 

먹어야 해요

 

공부하여야 해요

공부해야 해요 (한국사람은 어떻게 말해요?)

 

가야해요.가야 돼요 (같은 뜻이에요. 말할 때 더 많이 써요)

:이후로 '돼요' 혼용해서 사용.

 

(여러 동사 예시, 문법적 설명, 학생 답변 유도, 판서 중심.)

(아요/어요/여요 형을 이미 배웠으므로, 학생의 답변, 호응을 끌어낼 수 있음)

 

 

 

-연습 (16:48)

• 연습에서 상호작용의 형태는 어떠한가?

 

-조작적 연습 (16:48) 

 

 

1. 카드연습 (16:48)

동사 카드 제시

 

가다 

보다

먹다

마시다

일하다

 

교사 질문 : 뭐 해야 해요?

 

-어려운(불규칙) 동사 (17:00)

듣다 -> 들어야 돼요. (듣다 동사는 복잡함)

쓰다 ->써야 해요

쉬다 -> 쉬어야 해요

입다

 

-다시 일반 동사

일어나다

좋아하다

 

규칙(쉬운)동사-어려운(불규칙)동사-일반(쉬운)동사

순으로 섞어서 진행

 

 

-조작적 연습2 : 유인물 문제 풀기 연습 (20:40)

(약 7개의 문항 중, 마지막 문향은 유의미적 연습 시도.

중간에 쉬운 문형(선수 학습된)으로 대답을 유도할 수 있는 활용/유의미적 연습 시도.

6, 7번 문항 풀이 후, 문제 주제 관련하여, 선수 학습된)으로 대답을 유도할 수 있는 활용/유의미적 연습 시도. 

 

-유인물 나눠 줌

 

1번 선생님하고 같이해요 (보기를 먼저 보여 줌)

입으로 같이 풀기

 

2번 제(선생님)가 ~씨에게 질문해요 (선생님:학생)

(정답을 판서로 보여 줌 : 학생들이 철자가 맞았는지 확인하도록)

 

3번 (선생님:학생)

어머니가 아프셔서 고향에 가야해요.

짝이 되는 문법을 제시.

아/어/여서 -아/어/여야 하다

 

4번, 5번 모두 '교사:학생' 

 

유인물에 없는 돌발 질문 : 조미떼 씨는 왜 한국어를 공부해야 해요?

한국음악을 공부하고 싶어서 한국어를 공부해야 해요

(유의미적 연습 시도)

 

4번 클라라 생일 : 조작적연습이었으나, 개인적 대화 시도

 

5번 조작적 연습

 

7번

장옥씨(실제학생) 가족이 한국에 와요. 어디를 구경해야 해요?

박물관은 어디에 있어요?

KTX 탔어요?

어디에 갔어요?

등 활용, 유의미적 연습을 시도함

 

 

유의미적 연습 (28:55)

 

유의미적 연습1 (28:55)

 

여러분은 학생이에요.

학생은 뭐 해야 해요?

공부해야 해요

친구를 만나야 해요.

 

 

 

유의미적 연습2 (29:49)

 

이 사람은 뭐 해야 해요?

 

좋은 선생님은 뭐 해야 해요?

 

학생 : 단어를 잘 설명해야 해요.

천천히 말해야 해요.

(학생이 느리거나 더듬거리는 경우, 한 번 더 유도)

잘 가르쳐야 해요

친절해야 해요.

학생나라 단어를 조금 알아야 해요.

(알..까지만 맞고, 이후 틀렸을 때에는, 알 까지만 힌트주고 이후에 오류가 있다는 암시만 주고 몇 번 더 시도)

친구 같아야 해요

 

 

-유의미적 연습3 (35:31)

 

여러분 지금 남자친구, 여자친구가 있어요?

비밀이에요?

하지만, 여러분 머릿 속에 생각이 있어요.

 

여러분은 결혼할 거에요

부인은 어떤 사람이어야 해요?

남편은 어떤 사람이어야 해요?

 

-착해야 해요

-똑똑해야 해요

-멋있어야 해요

(오류가 발화된 경우, 한번 기회를 주고, 또 설명시에는 항상 판서가 들어감)

-깨끗해야 해요

(다른 학생이 아직 모르는 단어를 어느 학생이 발화한 경우 : 발화한 학생에게 설명을 부탁하거나,

쉬운 단어로 설명. 착하다 = 마음이 예뻐요, 마음이 좋아요)

-말 많아야 해요

 

 

 

-활용 (41:28)

 

1<예시>먼저 들어주기 (41:28)

선생님 : 친구가 미국에서 와요. 한국에서 뭐 해야 해요?

지하철을 타요. 싸요. 지하철 지도가 필요해요

떡볶이를 먹어야 해요.

쇼핑을 해요. 동대문에 가야해요.

 

(협의적인 설명 : 세 개를 이야기 함.

지하철 지도 있어야 해요. :필요

음식

쇼핑)

 

 

 

 

2(서로 대화시간) (44:20)

유인물 : 선생님이 친구에게 쓴 이메일이 있음 <예시가 제시되어 있음>

 

유인물 나눠 줌

 

친구에게 본인 나라의 교통, 음식, 쇼핑 등 소개하는 글(메모)작성

 

작성 후 짝을 지어 학생:학생 대화 하도록 유도(각각)

 (서로의 나라, 국가를 알 수 있는 액티비티)

 

선생님 돌아다니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부분 등 조언

(선생님은 돌아다니면서 학생 그룹들이 하는 말을 잘 들음. 잘 듣고, 때때로 반응, 추임새를 넣어 줌)

 

 

 

 

3<각 그룹 발표 시간> (50:55)

 

각각 발표

 

(시간이 별로 없어보임)

 

 

 

정리 (56:25)

 

나중에 다른 친구에게 물어보세요.

 

 

 

뭘? 해야해요

 

뭘 (먹는 시늉)먹으러 가야해요

 

전화 (시늉)해야해요

 

 

오늘 수업 질문 있어요?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57:16 (끝)

보조자료 :

단어카드, 글자카드 (초급단계 : 크고 명확하게)

문형카드

사진자료

동영상 자료

: 교재와 맞아야, 교재의 제시 내용, 교육 목표에 맞는 보조 수단, 가장 중요한 것은 교재 자체

 

 

A.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이해

 

1. 교수학습 자료의 개념

 

1) 교수학습 자료의 정의

- 수업 모든 단계에서 활동에 사용되는 모든 자료

-교과서 이외에 수업에서 사용되는 모든 자료

 

2) 왜 개발을 할 줄 알아야 하는가?

-수업의 각 단계별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음

(단계별로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자료가 같을 수 없다)

-학습자, 수업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자료 개발을 할 수 있어야

(연령, 성별, 이해의 폭, 취향에 따라 구체적 연습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말하기/듣기/ 등의 수업의 특성에 따라 자료의 형태와 내용은 다양해 질 수 있다)

 

2. 교수학습 자료의 종류

 

1)형태별 유형

-실물 자료 : 물건 그 자체

-가공된 자료 : 문서화된 자료, 이력서를 학습 수준에 맞춰서 편집한 경우 등

-시각 자료  

-청각 자료

-동영상 자료

-기타

 

2) 수업 단계별 유형

-도입 및 제시 : 흥미유발, 시선 집중이 필요 

예: 시각적 자료가 좋다. 그림, 사진, 실물 자료 등

-연습 : 조작적 연습 : 형태 초점의 반복 연습을 위한 단어카드

유의미적 연습 : 유인물

예: 동사 카드, 명사 카드, 연습 활동지

-활용 : 실제적 과제 수행을 위한 가이드라인(지침)이 필요. 실제적 과제가 가장 좋음.

실제적 자료 또는 보조적 유인물 형태의 활동 자료

예 : 이력서, 메모지, 보고서 틀 등

 

 

B. 교수학습 자료의 구성

 

1. 교수학습 자료 구성의 원칙

 

1)도움말을 제공하라

-자료의 기본 기능은 도움말을 제공하는 것

-연습, 활용 활동은 <보기>가 반드시 포함 (예시를 먼저 들어주어야 함)

-사용할 어휘, 표현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

 

2) 선수학습 내용을 사용하라

-이전에 배운 어휘나 표현을 연습 활동 구성에 적극 사용, 이전 학습 내용을 상기

-너무 많은 새로운 어휘, 표현은 본 학습 목표 달성에 방해됨

 

3)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라

-연습은 단순반복적 이기에, 연습 방법을 달리하면 덜 지루하게 느껴 몰입에 도움

-매 차시 다른 양식의 자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4) 다양한 경험 공유가 가능하게 :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하나의 주제/문제에 대해 학습자들의 다양한 경험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가장 자주 사용되는 '도구'는 교사의 '질문')

-공유는 학습자의 몰입 촉진, 협력 학습 가능케

-예/아니오로 답하는 질문은 지양하고, 왜, 어디서, 어떻게 등으로 답을 할 수 있는 질문

 

5) 도움말을 점차 줄여라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도움말을 줄여 나가도록 함

도움말을 줄이고->학습자 스스로 교수학습 활동에 주도적일 수 있도록

-학습자 스스로 목표를 익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함

-조작적 연습 후반부, 유의미적 연습에 반드시 적용

 

6) 순서대로 배열하라

-내용 : 쉬운 것 -> 어려운 것

-형태 : 단순한 것 -> 복잡한 것

-도움말 많은 것 -> 없는 것

-교사가 함께 하는 것 -> 학습자끼리 혹은 학습자 혼자 하는 것

 

2. 교수학습 자료 사용의 유의점

 

1) 수업 전 사전 점검 필요

-실제 수업 전 반드시 가상 실제적으로 사용해 보고 수정 과정을 거치도록 함

 

2) 수업 자료의 양 제한 (많으면 안됨!)

많은 연습의 기준은 '많은 자료'가 아님.

'학습자의 표현 기회가, 제한된 시간에 얼마나 많았나' 가 연습량의 기준임.

-수업 자료는 최소한으로 제한함

-활동지는 차시(시간 단위)당 1개 정도가 적당함

 

 

 

C. 교수학습 자료 제작의 실제

 

1. 자료 제작의 원칙

 

1) 학습자가 보기 편해야 한다

-그림, 사진은 크고 선명해야 (도입용으로 주로 쓰는데, 한 사람 대상이 아닌 교실 전체 대상임)

-전체 대상인지 개인 대상인지를 구분할 것

단일 품목의 그림의 경우, A4의 종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황이 있는 그림 사진의 경우 더 커야 한다

(사진 자료가 작은 경우, 한 명 씩 보여 주어야 하기에, 시간관계상 '죽은 시간'이 생김)

*코팅은 금물. 조명이 비춰서 학습에 방해가 됨

 

2)교육 단계에 따라 자료를 차별화하라

-초급일수록 정보를 제한해야 학습자 부담이 적다

-실제 자료의 가공이 필요함

-초급일수록 시각자료 비중이 높음

-글자체, 글자 크기 (초급일 경우 글자체가 중요함.)

 

3)학습자의 배경을 반영하라

-학습자들이 모두 알 수 있는 내용을 선택

예: 63빌딩, 대통령 (잘 모를 수 있다)

-학습자의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내용

예: 유명인, 노래/장소 

-학습자의 연령과 문화적 배경에 맞는 내용

예: 어린이용 그림, 서양인과 동양인, 마이클 잭슨

 

4) 효율성과 경제성을 모두 고려하라

-정말 교육적 효과가 있는가?

-제작이 용이한가?

-재사용이 가능한가? 일회용인가?

-사용이 편리한가?

 

2. 자료 제작의 실제

 

1) 단어 카드 : 한국 어린이 대상의 자모카드를, 성인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카드의 색을 달리함 :

-동사의 종류 구분

-불규칙 동사 구분

-글자체와 글자크기

 

2)그림 또는 사진

-크고 선명하게

-도입이나 제시 단계

-초급의 조작적 연습 활동

-상황 제시

-등장 인물의 연령 및 외모

 

3) 연습 활동지

-보기를 반드시 제시

-일정한 지시문 사용 (고정된 지시문을 반복적으로 )

-쓰기 연습의 경우, 줄 간격을 충분히 제공

-모든 활동지는 '도구'일 뿐, 학습자를 풀게하고 교사가 가만히 있으면 안됨

연습 활동지는 형태 구성 및 대화 구성 (=표현) 연습의 도구임.

 

4) 활용 활동 자료

-활용과제의 유형에 따라 매우 다양함

-듣기/말하기/읽기/쓰기 통합 

+ Recent posts